본문 바로가기

성인/호흡기계

호흡기계 구조 - 상부기도, 하부기도

[호흡기계 역할]

- 조직에 산소 공급

- 대사산물의 노폐물인 이산화탄소 배출

- 산-염기 균형 : acid-base balance. 체내 수소이온농도 일정하게 유지. PH는 신장과 폐에 의해 조절

- 발성 : 후두 안에 성대가 있어 열리고 닫히며 소리 냄

- 후각 : 비강 상부에 후신경이 있어 냄새 맡을 수 있음

- 체액균형 

- 체온조절

 

*참고

중추신경계 CNS : 뇌, 척수

말초신경계 PNS : 뇌신경(12쌍), 척수신경, 자율신경(교감,부교감)

1-후신경, 2-시신경, 3-동안신경, 4-활차신경, 5-삼차신경, 6-외전신경,

7-안면신경, 8-청신경, 9-설인신경, 10-미주신경, 11-부신경, 12-설하신경

 

[호흡기계 구조]

  • 상부기도 : 코-비강-부비동(코곁굴, 동굴처럼 빈 공간)-인두-후두
  • 하부기도 : 기관-기관지-세기관지-(말단세기관지-호흡성세기관지)-폐포도관-폐포
    - 세기관지~폐포 : 폐(허파,Lung)
    - 말단세기관지 : 폐포x, 전달만
    - 호흡성세기관지 : 폐포 붙어있는 기관지, 호흡관여

 

[상부 기도]

코- 부비동-인두-후두

  • 코 : 코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뉨. 비강 상부에 후각신경(제1뇌신경)분포되어 있어 냄새 맡을 수 있음.
  • 부비동 : 비강을 둘러싼 뼛속의 빈 공간. 발성 시 공명, 두개골 무게 가볍게 함.
    - 전두동/접형동/사골동/상악동(광대 안쪽)
  • 인두 : 구강과 비강 뒤쪽에 위치.
    - 비인두 : 아데노이드(침입하는 미생물 포획), 유스타키오관(중이와 비인두 연결. 음식을 씹거나 삼키는 동안 중이와 대기와의 기압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열려있다)
    - 구인두 : 공기와 음식 통과. 구개편도 위치.
    - 후인두 : 혀 기저부에서 식도까지 위치.
  • 후두 : 인두와 기관 사이 위치. 후두개 제외, 여러개의 연골로 구성되어 있는 전체를 후두라고 함.
    - 삼키기, 말하기, 호흡보조, 목소리.
    - 상,하 후두동맥이 혈액공급. 미주신경 지배 받음(수술하다가 신경 건드리면 목소리 안나오거나 허스키보이스)
    - 갑상연골 : 방패연골, adam's apple
    - 윤상연골 : 성대 포함. 가성대와 진성대가 있음. 진성대 사이의 개구부를 성대문.  
    - 피열연골 

상부기도의 기능

- 흡입 공기의 가온, 가습, 여과(코털)

- 기도 내 분비물 제거(재채기, 기침)

 

[하부 기도]

기관-기관지-세기관지-폐포관-폐포(허파꽈리)

  • 기관 : 식도 앞에 위치. 좌우 기관지로 갈라지는 지점을 용골(carina. 기침반사수용체 있음). 6~20개의 C모양 연골.
  •  허파 : 오른쪽 허파 3엽, 왼쪽 허파 2엽.
    - 폐포, 폐포관, 세기관지, 기관지로 구성
    - 흉막은 허파와 흉곽을 싸고 있는 두 겹의 장막. 두 가슴막 사이 흉막강 안에 5~20cc 흉막액 들어있어 완충 역할.
    - 허파 아래에는 횡격막 있어 복강과 흉곽 분리. 횡격막은 늑간근과 함께 호흡근 역할. 
  • 기관지, 세기관지 : 우측 기관지가 좌측에 비해 짧고 굵으며 수직에 가까움. 이물질 쉽게 들어감.
  • 폐포관 : 폐포관은 호흡세기관지에서 나오는 포도송이 모양의 관. 
  • 폐포 : 고무풍선 모양의 얇은 막. 성인 3~5억개. 
    - 총단면적이 크고 벽두께 얇아서 가스교환 용이
    - 폐포 구성하는 상피세포 : Type1 폐포세포(O2, CO2 기체교환) Type2 중격세포(계면활성제 생산)
    - 표면활성제 : 폐액의 표면장력 감소시키는 지단백. 폐포에서 가스교환과 폐조직의 탄력성에 기여. 표면장력은 분자들끼리 서로 잡아당기는, 폐포를 안쪽으로 잡아당기는 힘. 호기->폐포 용적↓ 계면활성↑ 표면장력폐포 허탈 방지. 흡기->폐포용적↑ 계면활성제↓ 표면장력↑ 폐포 과도팽창 방지.

 

폐순환 : 우심실 -> 폐동맥 -> 폐 -> 폐정맥 ->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 전신

전도영역 : 공기 통로역할(전달만). 비강, 인두, 후두, 기관-기관지-세기관지-말단세기관지

호흡영역 : 실제 호흡이 일어나는 영역(폐포가 붙은 부분부터). 호흡성세기관지-폐포도관-폐포, 모세혈관(가스교환)

폐순환
부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