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성인 호흡기질환 케이스스터디 / COPD-1 (정의, 병태생리, 원인,임상증상)

같이 공부해요 2023. 7. 18. 04:41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1. 정의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공기호흡의 폐색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을 말한다. 임상적으로 만성적인 객담을 동반한 기침을 하는 만성기관지염과 종말세기관지 이하의 폐포들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 폐포격벽이 파괴되는 폐기종이 혼합되어 양자 간의 구분이 힘든 경우, 이들을 총칭하여 COPD이라고 한다. COPD은 천식과 비슷하게 호흡곤란, 기침, 가래들의 기도 질환 증상을 나타내다가 폐 기능을 약화시켜 사망에 이르게 한다. 발병 원인은 90% 이상이 흡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외에 공해와 선천적 질환, 호흡기 감염증 등이 있다.

 

2. 병태생리

 

폐기종

폐기종 환자는 대개 만성 기관지염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폐기종 환자에게 일어나는 2가지 일차적인 병리학적 변화는 폐 탄력성(elasticity)의 손상과 폐의 과잉팽창이다. 이런 변화는 호흡곤란과 함께 호흡수를 증가시킨다.

폐포벽의 탄력성 상실, 폐포의 과신전과 확대, 작은 기도(세기관지)의 허탈에 의해 폐포 내 공기가 포획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한다.

과팽창한 폐는 호흡의 주된 근육인 횡격막을 편평하고 약하게 만든다. 그 결과, 폐기종 환자는 호흡할 때 목, 흉벽, 복부등에 있는 보조근육을 사용하게 된다. 이는 산소와 대사성 영양소를 더욱 필요하게 하고, 더욱 힘든 호흡을 하게 하며 숨이 가빠진다(air hunger).

호흡 노력의 증가와 폐포 조직의 손실에 의해 가스교환은 영향을 받는다. 일부 폐포가 확장되기는 하나, 폐포 벽의 곡선이 담소되어 가스교환에 이용할 수 있는 표면적이 적다.

동맥혈가스검사(ABGA)의 결과는 병이 진행될 때 까지 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CO는 신체가 제거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축적되어, 과탄산증과 만성 호흡성 산증이 초래된다. 폐기종 말기에는 산소가 손상된 폐조직에서 혈류 속으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맥혈 산소분압이 낮아진다.

 

만성 기관지염

감염성 자극물이나 담배연기 같은 비감염성 자극물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발병한다.

1년에 적어도 3개월 이상, 2년 이상 연속하여 만성적인 객담을 동반한 기침을 유발하는 기관지와 세기관지의 염증이 발생한다. 자극물질은 염증반응을 일으켜 혈관확장, 울혈, 점막의 부종과 기좐지 경련을 초래한다.

점액선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여, 많은 양의 진한 점액을 생산한다. 기관지벽은 정상보다 2배정도 두꺼워져 공기흐름이 힘들어진다. 점액 과잉생산과 함께 작은 기도를 폐쇄시키고 큰 기도를 좁아지게 한다. 큰 기도가 침범되기 전에 작은 기도가 폐쇄된다.

점액 마개와 2차 감염 때문에 공기유통과 가스교환을 방해한다. 그결과, PaO는 감소하고(저산소혈증), PaCO는 증가한다(호흡성 산증).

 

3. 원인

 

흡연, 대기오염, 직업적 노출, 알레르기, 자가면역, 감염, 유전적 소인, 노화 등이다.

 

COPD의 원인으로서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고 있는 것이 흡연이며, 흡연을 장기간 계속하면 섬모운동의 억제, 기관지의 수축, 비만세포의 기능장애 등 신체의 방어기능이 약화되고 antiprotease의 기능도 감소되어 점점 COPD로 진행된다. 비흡연자의 경우에는 나이가 한 살 더 많아짐에 따라서 FEV1이 대략 20~25ml씩 감소되나 흡연자의 경우에는 대략 40~45ml씩 감소되므로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서 FEV1이 감소하는 비율이 약 두 배 정도 더 높은 편이다.

 

또한,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는 빈도와 흡연기간 사이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30년 이상 흡연한 경우에는 70%이상에서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흡연기간이 길수록 COPD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밖에 COPD를 초래하는 원인으로는 대기오염 그 가운데에서도 질소 나 유황의 산화물질이 심하며 만성 감염증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폐결핵에 의한 대상성 폐기종), 알러지성 자극 및 유전적 소인 등이 있다.

 

4. 임상증상

 

일반적인 외모의 변화

간호사는 키에 비례한 체중, 자세, 기동력, 근육 질량과 위생 상태, 일반적인 외모를 관찰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사지의 근육은 가늘어지고, 목 근육은 증대된다. 환자는 느리게 움직이고, 약간 허리를 구부린다. 일반적으로 환자들은 앞으로 고개를 숙인 자세로 앉아 았고, 때때로 팔을 앞쪽으로 븥들고 있다.

호흡곤란이 심해지면 활동장애가 나타난다.

 

호흡 변화

호흡수와 호흡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흉부를 시진한다. 빠르고 얕은 호흡을 하고, 역리호흡(paradoxical respiration)을 하거나 복부나 목의 보조 근육을 사용한다. 호흡수는 40~50/분로 빨라질 수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전 흉부를 체계적으로 촉진하여 압통, 비정산적인 퇴축 부위, 흉부 팽창의 대칭성 등을 사정한다. 폐기종 환자는 횡격막이 편평하기 때문에 횡격막 운동이 제한된다. 기도가 폐쇄되어 진동이 전달되지 않았으므로 진탕음(fremitus)이 나타나며 흉부 타진시 과공명음(hyperresonance)이 들린다.

흉부 청진시 악설음(crackle)이 들린다.

호흡곤란의 정도는 시각적 아날로그 호흡곤란 척도(VADS)를 사용하여 사정한다.

 

 

참고

성인간호학(), 현문사

기본 간호학, 수문사

Pathology 병리학, ‘3, 현문사

한국 건강 관리 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