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꼭 암기해야 하는 의학용어 (소아과/아동 6)

같이 공부해요 2023. 8. 23. 06:07

젖먹이, 포유아(suckling) 젖으로 영양을 공급함 또는 젖에서 영양을 섭취함. 젖병 또는 고무젖꼭지를 사용하는 것처럼 부분적인 공상태에서 안으로 빨아들이는 것을 의미하는 빨기와 교환적으로 사용됨

젖물림(latch-on) 신생아를 엄마의 유방에 갖다대는

제왕절개 분만(cesarean birth) 복벽 자궁절개를 통한 태아의 외과적 출산

제자리암종(carcinoma in situ) 깊은 조직으로 확장되지 않은 표면 조직의 악성 종양

조산, 조기분만(preterm birth) 임신 20 이후 임신 38 시작 전에 발생하는 출산

조혈(hematopoiesis) 골수 혈구의 정상적 형성과 발달

좁쌀종(milium) 확장된 피지선에서 시작되는 1 mm 크기의 흰색 낭종

준비(preparation) 시술, 치료 또는 이벤트 전에 정보 제공. 대처를 용이하게

중독(addiction) 합법적인 약물과 비합법적인 약물을 의지와 상관없이 사용해야 하는 심리적·신경생화학적 상태

중독성홍반(erythema toxicum) 신생아에서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양성 발진으로 얼룩진 붉은색 부위에 노란색 구진 또는 수포가 앙에 있음

중성구감소(neutropenia) 신체가 감염과 싸울 있는 능력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순환 중성구 수의 감소

중성열환경(neutral thermal environment) 산소 사용의 대사율 증가 없이 체온이 유지되는 환경

중심정맥 접근장치(central venous access device) 말초혈관이 아니라 주로 상대정맥, 경정맥 등의 중심정맥에 카테터를 삽입하는 장치장기 정맥 주입에 사용

지능(intelligence) 인간의 선천적인 능력으로 학습, 사고 문제해결과 관련된 개인의 능력. 언어적·비언어적 또는 기계적 능력 등의 특수기술을 측정하는 지능검사의 결과

지방생성-(lipogenic) 인슐린과 같은 지방 생성을 자극하는 물질

지적 결함(intellectual impairment) 특정 기준이 없는 경우 정신 지체라는 용어를 설명자로 대체함

지적 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학습, 사고, 문제 해결의 장애를 설명하기 위해 학습 전문가가 채택한 용어

지혈(hemastasis) 혈관수축과 응고로 출혈을 멈추는 과정

진동감(fremitus) 촉진이나 청진상 감지할 있는 진동

질소혈증(azotemia) 혈액내에 요소와 질소화합물이 존재하는 상태. 혈액 요소질소 또는 크레아틴 수치 상승

질식(asphyxia) 산소의 전신 전달이 극심하게 위태로운 호흡곤란 상태

질식(asphyxiation) 신체에 산소공급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질식 상태

질환 궤도(illness trajectory) 직업과 모든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질환의 경로

찰과상(excoriation) 피부가 긁히거나 벗겨지는

척수강내(intrathecal) 수막강내

촉각경험(fingertipping) 엄마와 신생아 촉각(접촉) 경험. 엄마는 주로 손끝으로 아기 몸을 탐색함

첫태동감, 태동초감(quickening) 엄마가 느끼는 태아의 번째 움직임

청소년기(adolescence) 사춘기가 시작하여 신체적 성장이 멈추기까지의 기간. 아동기와 성인기의 중간 시기

청진(auscultation) 신체에서 나는 소리(심음, 호흡음 ) 감지와 평가. 대개 소리를 증폭하기 위해 청진기를 사용함

체세포(somatic cells) 생식세포 이외의 체세포

체온조절(thermoregulation) 체온유지


체혈관 저항(systemic vascular resistance) 좌심실이 심박출을 하기 위해 펌프해야 하는 것에 대응하는 전신혈관상의 저항력

초경(menarche) 월경의 시작

초극소 저체중출생아(extremely low-birth-weight infant) 출생 체중이 1,000 g(2 lb, 3 oz) 이하인 유아

초유(colostrum) 임신 출산 7~10 동안에 분비되는 모유

촉진(palpation) 질감이나 체온, 수분, 장기의 크기와 위치 등을 확인하기 위해 접촉하는

최소경장영양공급(trophic feedings) 위장관 성숙을 돕기 위해 고안된 아주 작은 수유. 최소경장영양 공급

추론(inference) 결론을 도출하거나 추론하는 행위

추체로(pyramidal tract) 수의적 운동에 관여하는 상부 운동신경세포의 하행 통로

추체외로(extrapyramidal tract) 불수의적 또는 무의식적 골격근의 협응(coordination) 협응에 대한 반사적 조절에 관여하는 운동신경세포의 하행 통로

출생 결함/출생 결손(birth defect) 출생 생긴 신체 구조, 기능 대사의 비정상적인 상태로 신체 또는 정신적 장애 또는 사망에 이를 있음

출혈점(petechia) 진피 속에 작은 출혈이 있어 피부 표면에 나타나는 작고 편평한 자주색의

충치(caries) 치아의 썩음

충혈(hyperemia) 신체 일부의 과도한 혈액

치과 응급(dental emergency) 치아의 완화에 중요한 시기에 발생하는 치아의 상해나 감염

치료적 관계(therapeuticrelationship) 아동과 가족과의 관계와 관련해 적절한 개입과 전문적인 분리 사이의 균형

치료적 놀이(therapeutic play) 아동의 심리생리적 안녕을 증진하는 안내된 놀이

친숙놀이(familiarization play) 친숙한 환경(병원 ) 물건을 사용하는 창의적 놀이 활동

침수상해(submersion injury) 익사 사고에 의한 손상으로 사고 바로 나타나거나 48시간 내에 나타남

캥거루 케어(kangaroo care) 유아와 부모 사이의 피부 피부 접촉

케톤, 케톤산(ketone, ketoacid) 기아 상태(당뇨병 아동의 경우, 인슐린 결핍의 결과) 대한 반응으로 생산되는 산으로, 포도당 활용 불가능할 에너지 활용을 위해 저장된 지방으로부터 생산됨

케톤뇨(ketonuria) 소변에서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케톤체 배설. 당뇨병이 조절되지 않는다는 신호

케톤증(ketosis) 혈액 케톤체(대사 산물) 축적. 종종 산증과 관련있음

코벌렁임(nasal flaring) 영유아가 많은 산소를 흡입할 있도록 콧구멍이 넓어지는 것으로 공기 부족의 심각한 징후

쿠싱 반응(Cushing’s response) 두개내압의 증가로 후기에 나타나는 증상. 혈압 상승, 맥압이 넓어짐, 심장박동 감소, 호흡 횟수의 ·불규칙

쿠스마울호흡(Kussmaul respiration) 당뇨병케토산증 있는 깊고 빠른 호흡으로, ‘air hunger’ 서술되기도 하는 산증에 대한 호흡성 보상으로 이산화탄소가 배출됨

큰몸증(macrosomia) 비정상적으로 태아 크기; 출생 체중 4,000 g(8 lb, 13 oz 이상) 이상. 일부 문헌에서는 출생 체중 4,500 g(9 lb, 15 oz 이상)으로 정의함

킬레이트화(chelation) 금속이온이 구조물에 결합하여 이온이 불활성화되는

킬로칼로리(kilocalorie) 음식의 에너지 값을 표시하는 열량 단위. 흔히 칼로리라

타진(percussion) 밀도나 위치, 장기의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신체를 두드리는

 


탈구(dislocation) 관절 내의 정상 관절강에서 뼈의 위치가 벗어난

탈모증(alopecia) 모발의 손실

탈출(), 탈장()(herniation) 뇌조직을 옆으로, 대뇌낫 아래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심각한 신경학적 기능 장애를 유발함

태도, 자세(attitude) 굴곡 또는 신전과 같은 태아 신체 부위 간의 관계

태만(negligence) 유사한 배경의 합리적이고 분별력 있는 사람이 비슷한 상황에서 제대로 행동하지 못하고 실패함

태반(placenta) 발육 중인 아기의 영양공급, 노폐물 제거, 임신지속에 필요한 호르몬을 분비하는 태아 구조

태변흡입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 심각한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유아 속의 태변으로 인한 폐색 공기걸림

태선화(lichenification) 피부가 강화되어 두꺼워지고 단단해지는 것으로 만성적으로 긁으면 발생함

태아 알코올 스펙트럼장애(fetal alcohol spectrumdisorders) 임신 산모의 알코올 사용으로 인한 모든 장애. 태아 알코올증후군을 포함

태아(fetus) 임신 9주부터 출산까지 아기의 발육기. (모든 관행에서 용어는) 연령에 관계없이 임신 발달하는 아기를 설명하기 위해 종종 사용됨

태아기름막, 태지(vernix caseosa) 태아의 피부를 보호하는 두껍고 하얀 물질

태아성장제한(fetal growth restriction) 태아가 재태연령에 비해 예상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태아수종(hydrops fetalis) 적혈구 파괴로 인한 심각한 빈혈의 이차적인 태아의 심부전 전신부종

태아알코올증후군(fetal alcohol syndrome) 태아 알코올 노출의 가장 심각한 영향인 신체적, 행동 정신적 이상 그룹

태아적혈모구증(erythroblastosis fetalis) 모체 혈액과 태아 혈액의 부적합으로 인한 태아적혈구의 응집 용혈. 대부분의 경우 태아는 Rh 양성, 산모는 Rh 음성임

탯줄천자(percutaneous umbillcal blood sampling, cordocentesis) 유전성 혈액장애, 산증, 감염 등의 태아문제를 발견하기 위해 탯줄혈관의 초음파유도 천공을 통해 태아 혈액을 얻는 절차

터널형 중심정맥관(tunneled central line) 수술을 통해 데크론 폴리에스테르 커프를 피하터널에 삽입한 중심정맥도관. 대부분 외경정맥 삽입함

토혈, 혈액구토(hematemesis) 선명한 적색의 혈액이나 커피 가루 같은 변성된 혈액의 구토. 대부분 출혈의 근원은 공장 인접 부위임

통각수용기(nociceptive) 통각을 일으키는 신체 특정부위의 자극

통증(pain) 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과 동반해 경험하거나 그런 손상의 견지에서 표현하는 불쾌한 감각이나 정서적 경험

통증문턱값(pain threshold) 통증을 감지하거나 인지할 있는 강도의 수준

퇴행(regression) 발달의 이전 단계에서 성공적이었던 행위로 돌아감으로써 갈등이나 좌절을 해결하는 방어기전

특발성(idiopathic) 원인불명

특이면역 기능(specific immune functions) 인체에서 살아남은 항원에 대해서 고도로 분별화된 방법으로 활성화되는 체액성 면역(B세포 항체 생산) 세포성 면역(T세포)

판막성형술(valvuloplasty) 심장판막을 개방하기 위한 기계적인 시술

판막절개술(valvotomy) 심장의 판막에 외과적으로 만든 트인 구멍

평균필요량(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연령군에서 건강한 사람의 절반의 요구를 충족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영양소

평행놀이(parallel play) 옆에서 놀지만 함께 놀지는 않음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폐동맥과 세동맥의 압력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