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

꼭 암기해야 하는 의학용어 (소아과/아동 3)

만성 슬픔(chronic sorrow) 아동의 질병이나 아동의 건강상실과 관련된 비탄, 상실, 반복된 두려운 감정

만성 질환 또는 상태(chronic illness or condition) 장기적이고 완치가 되지 않았거나 일상생활의 부분적 제한이 남아 있는 상태 또는

말단청색증(acrocyanosis) 말초순환감소에 기인한 손과 발의 푸른색 착색

말초삽입 중심정맥관(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말초혈관에서 삽입한 중심정맥관(대개 자쪽피부정맥 삽입함)

망상적혈구(reticulocyte) 미성숙 적혈구

매개동물(vector) 숙주에서 다른 숙주로 감염물질을 옮기는 매개체(carrier)

맥박산소측정(pulse oximetry ) 피부에 부착된 센서에 의한 혈중 산소포화도 측정 방법

머리뼈붙음증, 두개골유합증(craniosynostosis) 유아 머리봉합의 조기 폐쇄

머리혈종, 두개혈종(cephalohematoma) 출생 압력에 의해 생긴 골막과 두개골 사이에 생긴 출혈. 봉합선을 넘지 않음

면밀한 주시(engrossment) 아버지와 신생아 강렬한 끌림과 면밀한 주시

면역(immunity) 해로운 생물체나 독소의 영향에 대한 신체의 저항(resistance)

면역(림프그물)체계(immune (lymphoreticular) system)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곰팡이 이물질에 대한 신체의 내부 방어

면역(림프세망조직)[immune(lymphoreticular) system]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진균 이물질에 대한 인체의 내적 방어 시스템

면역결핍증(immunodeficiency) 다발적이고 반복적인 감염에 대해 증가한 감수성을 나타내는 면역체계의 결핍

면역억제(immunosuppression) 신체의 정상적인 면역 반응의 약화나 정지

면역억제(immunosuppression) 신체의 정상면역반응의 약화 또는 중단

모세포(blast cell) 림프아구, 골수아구, 단아구와 같은 미성숙 백혈구세포

목감은탯줄(nuchal cord) 태아 주위의 탯줄

몽골반(Mongolian spots) 피부색이 짙은 신생아에게 주로 발생하는 멍과 같은 자국

무기폐(atelectasis) 허탈 또는 공기가 없는 상태로 폐의 일부 또는 전체에 나타남

무분별탐식증, 이식증(pica) 세탁 전분, 점토, 얼음 비영양물질의 섭취

무이완증(achalsia) 위장관계의 평활근섬유의 이완 능력의 감퇴로 소화기계 관을 따른 음식과 미즙의 이동에 어려움이 있고 기능적

폐색이 초래된 상태

무혈관성 괴사(avascular necrosis) 부적합한 혈액 공급의 원인에 의한 조직 손상

무호흡 발작(apneic spells) 20 이상의 호흡중지 또는 청색증, 창백, 서맥, 긴장저하의 동반

문합술(anastomosis) 식도나 위장관같이 관으로 분리된 기관을 하나의 관으로 연결하는 외과적 시술

문화(culture)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이행되는 사람들 집단에 대한 가치, 신념, 경험의 총체

물질남용(substance abuse) 약이나 기타 중독 물질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부적절하게 사용해 기분이나 행동을 조절하거나, 사회적·

직업적·정신적·신체적 문제를 유발하거나, 신체적 손상을 초래하는 상태

미숙아(preterm infant) 임신 38 시작 전에 태어난 영아. 미숙아

미숙아망막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망막혈관 손상으로 시력 저하 또는 실명을 유발할 있는 상태

민족성(ethnicity) 특정한 민족 집단에 속한 상태로 민족적 자부심을 말함

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 자신의 민족 집단에 대한 신념과 관습은 다른 민족보다 우세하다는 견해

 


 

발달(development)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능이나 정신사회적·인지적 행동이 변화하는

발달연령(developmental age) 환경에 적응할 있는 기능적인 행동과 능력에 근거한 나이. 연대기 연령에 반드시 상응하는 것은

발달이정표(developmental milestones) 영아가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발달기준점으로 어떤 시기에 발달지표를 달성

하지 못하면 중요한 문제의 원인이 있음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y) 예상 발달수준의 지연과 손상이 특징

발열원(pyrogens) 열의 원인이 되는 물질

배냇솜털(lanugo) 태아를 덮고 있는 가늘고 부드러운

배뇨곤란(dysuria) 소변볼 통증이 있는

배아(embryo) 임신 3주부터 8주까지의 발육기

배틀징후(battle sign) 유양돌기 부위에 멍이 들거나 출혈된

백내장(cataract) 수정체나 수정체낭이 혼탁해지는 질환

백색동공(leukocoria) 수정체 뒤의 동공영역에 백색반사 또는 백색 물질의 출현

백혈구(leukocytes) 림프구, 단핵구, 중성구, 호산구, 호염기구의 다섯 가지 형태로, 외부 물질에 대해 인체를 보호하는 주요 세포

범혈구감소증(pancytopenia) 모든 종류의 혈구가 감소하는

베타세포(beta cells) 인슐린을 생산·분비하는 췌장 내의 특수세포로, 1형당뇨병의 자가면역 파괴 과정의 표적으로 여겨지고 있음

변형(molding) 산도를 통과하는 동안의 태아 머리 모양

변환적 사고(transductive reasoning) 일반적인 상황에서 특정한 상황으로가 아니라,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상황으로 뛰어넘어 생각

하는 과정

병력(history) 과거나 현재의 건강 상태를 기술하는 주관적 자료의 집합

병원체(pathogen)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보상(compensation) 곤란한 증상 없이 적절한 혈류 유지, 염분과 수분정체로 혈량 증가, 빈맥, 심비대와 같은 심장과 순환 적응

의해 달성됨

보상기전상실(decompensation) 적절한 순환 유지와 관련한 심장의 무능력. 호흡곤란, 정맥울혈, 청색증, 부종이 현저해질 있음

보조제(adjuvant) 통증관리에 중독성을 갖는 약물 혹은 비약물적 중재. 일차적으로 통증관리 중재를 보조하기 위해 계획됨

보존(conservation) 순서·형태·모양이 변한다고 해서 물체의 특정 성질이 변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는 능력

보통염색체(autosome) 성염색체 이외의 22쌍의 염색체

보호대, 억제(containment) 팔다리를 신체 근처에서 구부린 자세로 유지하기 위해 단단히 싸거나 다른 방법으로 유아의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방법

복사온열기(servocontrol) 생성되는 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복사온열기 또는 인큐베이터의 메커니즘

복시(diplopia) 물체가 이중으로 보임

봉합(sutures) 태아 두개골을 연결하는 유연한 조직의 좁은 영역. 분만 중에 약간의 움직임을 허용함

부모-영아 애착(parent-infant attachment) 부모와 영아 간의 소속감 혹은 결합된 느낌

부정(denial) 불유쾌한 현실을 의식적으로 인식하지 않으려는 방어기전

부정교합(malocclusion) 치아나 치열의 어긋난 배열, 치아가 쏠려 있거나 휘거나 배열이 어긋나 있는 상태

 


부정맥(arrhythmia) 리듬장애

부종(edema)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체액이 세포 조직 공간에 있는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 부모, 혹은 친숙한 환경에서 떨어짐으로써 야기되는 고통과 염려

분출구토(projectile vomiting) 입에서 60120 cm(24 feet) 정도 내뿜는 강한 분출성 구토. 유문협착으로 위의 왼쪽에서 오른쪽으

연동하는 심한 파동에 의해 시작됨

분해대사(catabolism) 살아있는 세포를 단순한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과정. 출산 자궁의 변화에 관여함

불꽃모반(nevus flammeus) 영구적인 보라색 모반, 포트 와인, 얼룩(검붉은 모반)

불신(mistrust) 에릭슨의 이론에 따르면 번째 발달과제의 부정적인 해결. 극심한 정서적 긴장 충족되지 않은 욕구의 행동

후를 초래함

불이행(noncompliance) 호흡하는 동안 공기 팽창에 대한 폐와 흉부의 저항

비가역성(irreversibility) 과정의 역순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미 일어난 행동을 마음속으로 되돌릴 없는 상태

비빔소리(crepitation) 건조하고 바삭바삭한 소리 또는 감각. 부러진 뼈의 끝이 서로 각각 움직일 골절된 부위에서 발생하는

걱거리는 느낌

비영양적 빨기(nonnutritive sucking) 젖의 흐름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상태에서 빨거나 고무젖꼭지나 손가락 등을 빠는

비용종(nasal polyps) 호흡기계 상피세포의 반투명한 돌출조직

비유창성(dysfluency)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알고 있지만, 불수의적이고 반복적으로 언어 표현이 지연되고 중단되어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언어장애

비특이 면역 기능(nonspecific immune functions) 화학물질, 인터페론, 염증, 포식작용 항원에 대한 반응으로 분비되거나 활성화되지

특정 항원에만 국한되어 반응하지 않는 면역 기능

빈뇨(frequency) 짧은 간격으로 소변을 보는

빌리루빈(bilirubin) 용혈된 적혈구의 불용성 구성물

빌리루빈뇌병증(bilirubinencephalopathy) 빌리루빈 독성의 급성 징후

빠른호흡, 빈호흡(tachypnea) 호흡수가 증가된 상태

절제(osteotomy) 뼈를 외과적으로 자름

뼈모세포(골아세포, osteoblasts) 뼈를 생성하는 활동을 하는 중배엽세포

사례관리(case managment) 특정한 대상자의 욕구를 확인하고 최적 효과를 얻기 위한 대상자 간호를 관리하기 위해 체계적 접근을

사용하는 임상모델

사시(strabismus) 눈이 쏠림’, 눈이 몰림’. 외안근의 조율이상으로 눈이 보려고 하는 물체를 향하지 않는 상태. 대부분 외안근의

균형이나 마비 증상으로 발생하지만 뇌종양, 근무력증, 감염이 원인인 경우도 있음

사이질액(interstitial fluid) 림프액을 포함해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외액

사전지도(anticipatory guidance) 미래 사건, 잠재적 문제나 쟁점 또는 아동의 발달 단계에 관해 예상되는 정보를 가족에게 제공하는

사춘기(puberty) 청소년이 성장급등기를 거쳐 2 성징이 발달하고 생식기 성숙이 이루어지는 시기

산류, 출산머리부종(caput succedaneum) 태아 또는 신생아 선진부에 생긴 부종으로 자궁경부에 대한 압력으로 생김. 일반적으로

caput(머리)이라 부름

산증(acidosis) 체내에 산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거나 염기가 소실되는 상태. 혈청 pH 7.35 미만

삼염색체(trisomy) 체세포가 3개의 염색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