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

꼭 암기해야 하는 의학용어 (소아과/아동 4)

삼킴곤란, 연하곤란(dysphagia) 삼키는 어려움이 있거나 삼키지 못하는 상태

상징놀이(symbolic play) 어떤 문제나 관심을 게임과 상호작용을 통해 표현하는 놀이

상징적 사고(symbolic thought) 마음속의 이미지(단어나 사물)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표현하는 능력

상처치유상태 평가(REEDA) redness(발적), ecchymosis(반상출혈), edema(부종), discharge(분비물), approximation(치유정도) 약어. 처치유 또는 염증 염증의 존재를 평가하는 유용함

상호애착(reciprocal attachment behaviors) 부모와 신생아 애착을 촉진하는 유아 행동의 레퍼토리

상황적 위기(situational crisis) 개개인의 사회심리적 혹은 정신적 안녕에 위협을 가하는 예측할 없는 사건

, (gland)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 사용될 호르몬 물질을 분비하는 기관 또는 구조물

샛길, 누공(fistula) 기관이나 조직 사이의 비정상적인 통로

생리적 식욕부진증(physiologic anorexia) 칼로리요구량이 줄어 식욕이 떨어짐

생명구조장치(extracorporeal life support) 다른 치료 방법이 효과적이지 않은 어린이에게 심혈관, 순환기 지원을 제공하는 임시방법

생명윤리(bioethics) 옳은 행동, 특히 건강간호와 관련된 규칙 또는 원리

생식기 성숙(reproductive maturity) 여아는 월경과 배란이 시작되고, 남아는 정자가 생성됨

생식샘(gonad) 생식세포와 성호르몬을 생산하는 생식샘. 여성은 난소, 남성은 고환

생식샘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생식샘을 자극하는 뇌하수체 전엽의 분비(특히 난포자극호르몬 및 황체형성호르몬).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은 임신 태반에서 분비됨

생식자, 생식세포(gamete) 생식세포; 여성의 난자 남성의 정자

생식자발생, 배우자발생(gametogenesis) 생식세포의 생성

선천-(congenital) 출생 존재하는

선천녹내장(congenital glaucoma) 눈의 방수유출로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안압 증가. 3 이전에 나타남

성염색체(sex chromosome) X 또는 Y 염색체. 여성은 2개의 X 염색체, 남성은 각각 1개의 X, Y 염색체를 가짐

성장(growth)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측정 가능한 신체적·생리적 변화

성장 급증(growth spurts) 성장 속도의 급격한 증가를 보이는 짧은 시기

성적 성숙도(sexual maturity rating) 여성은 음모와 유방, 남성은 음모와 성기 발달이 기초가 되는 성적 성숙 단계

세척(lavage) 씻어냄

세포내액(intracellular fluid) 세포 내에 있는 체액으로 아동의 경우 2/3, 신생아의 경우 1/2 구성함

세포외액(extracellular fluid)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체액으로 아동의 경우 체액의 1/3, 신생아는 체액의 1/2 구성함

션트(shunt) 일부 순환부터 다른 부분 순환까지의 비정상적인 혈액 흐름

손위생(hand hygiene) 비누와 물로 손을 닦는 , 소독용 핸드워시, 알코올을 사용한 문지르기 또는 수술용 손소독

쇼크(shock) 질병이나 손상으로 호흡기계나 심혈관계 손상을 일으키는 부적절한 조직관류

수동면역(passive immunity) 특정 항체가 들어 있는 혈청이 항체가 없는 사람에게 주입되었을 생기는 면역

수치료(hydrotherapy) 상처를 씻기 위해서 물에 담그는 치료법으로 오래된 드레싱을 제거하고 죽은 조직을 부드럽게 해서 제거하 쉽게 해줌

숙명론(fatalism) 사건이 예정된 것으로 믿는 신념


숙주(host) 기생충이 자양물을 얻어먹으며 서식하는 생물체

숫구멍, 천문(fontanel) 태아나 유아 두개골을 연결하는 봉합선의 교차점 공간

스트레스(stress) 개인, 가족이나 집단의 부분에 적응이 요구되는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어떤 상황이나 상태

시뇽(chignon) 진공흡착기에 의해 생성된 신생아 두피 부종

시력(visual acuity) 시각의 명확성, 시력 차트를 이용하여 검사함. 시력검사 결과는 3 m, 6 m 거리에서 정상인이 있는 결과와 비교함

시상하부(hypothalamus) 내분비 활동과 대사활동 유지를 위해 뇌하수체에 방출인자를 분비하는 뇌의 일부분

시진(inspection) 신체적 소견을 파악하기 위한 주의 깊은 관찰

식욕부진(anorexia) 식욕감퇴

신경관결손(neural tube defect, NTD) 척수 또는 두개골의 골벽 폐쇄의 선천적 결함

신경병증 통증(neuropathic pain) 말초나 중추신경계의 손상이나 기능부전으로 인한 통증

신경성 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 중이나 청신경의 손상 혹은 기형에 의한 난청. 대개 영구적 난청임

신경성식욕부진(anorexia nervosa) 왜곡된 신체상 또는 비만이라는 느낌 때문에 먹기를 거부함

신경세포(neurons) 자극을 시작하고 전도하는 기능의 신경계의 구조 단위(세포)

신뢰(trust) 아동과 양육자 만족스러운 상호작용 결과로 유아기에 형성되는 기본적인 감정. 건강한 인격이 형성되는 기반을 공함

신생아 안염(ophthalmia neonatorum) 생후 수주 동안 나타나는 결막염. 주로 임균이나 클라미디아균이 원인임

신생아 일과성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the newborn) 태아 폐액의 부적절한 흡수로 인한 빠른 호흡 상태

신생아 지속성폐고혈압(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PPHN) 출생 영아의 폐혈관 수축. 동맥관, 타원공 또는 두를 통해 혈류가 우좌션트될 있음

신생아금단증후군(neonatal abstinence syndrome) 헤로인과 같은 물질을 사용한 산모의 자궁에 노출된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신체적 집단

신생아반응 2(second period of reactivity) 신생아의 맥박 호흡수가 증가하고 점액이 과다할 있는 출생 번째 수면

신생아반응 초기(first period of reactivity) 신생아가 활동적이고 주의를 기울이는 출생 시부터 시작되는 기간. 아기가 처음 잠들

신생아사망률(neonatal mortality rate) 생후 28 이전에 발생하는 1,000명의 정상출산당 사망수

신전(제뇌)자세[extention(decerebrate) posture] 팔의 상부와 손목이 내회전되어 상지가 비정상적으로 신전되어 있는 자세. 하지도 약간 내회전으로 신전되어 있음

신체상(body image) 자신이 스스로 관찰 또는 유의미한 타인의 평가에서 유도된 신체 외형 능력에 대한 주관적인 이미지

심근수축력(myocardial contractility) 적절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심근세포와 심근조직의 줄이려는 능력, 심근 수축의

심비대(cardiomegaly) 커진 심장

심장박동장애, 심박장애(dysrhythmia) 리듬 장애

심첨맥박률(apical pulse rate) 1 동안 최대박동점에 청진기를 대어 측정하는 심박동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개인의 호흡계와 심혈관계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지지가 필요할 수행하는 프로토콜. 정확한 치료를 때까지 조직관류를 개선하기 위해 기도관리, 환기, 흉부압박을 제공함


쌕쌕거림, 천명(wheezing) 기관지협착이나 기도폐쇄로 흡기와 호기 시에 청진상 또는 청진기 없이도 천식에서 흔하게 들을 있음

쏠린머리증, 사두증(plagiocephaly) 머리의 편평화 또는 비대칭

아놀드-키아리 기형(Arnold-Chiari malformation) 4뇌실, 하부 소뇌와 뇌간의 기형(비정상 상태). 보통 척수수막류를 동반하기도

아탈구(subluxation) 관절의 부분적 탈구

악성(malignant) 침투적이고 불규칙적 증식을 하며 신체의 먼부위까지 퍼질 잠재력이 있는 비정상 세포. 생명을 위협함

안진, 눈떨림(nystagmus) 불수의적 안구의 움직임. 눈이 앞뒤로 빠르게 움직임

앉아숨쉬기, 좌위호흡(orthopnea) 직립자세 외에는 호흡곤란이 나타나는 증상

알레르기(allergy) 자극원(알레르기원) 노출된 면역체계로부터 여러 신체 부위에 나타나는 과민반응

알칼리증(alkalosis) 체내에 염기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거나 산이 소실되는 상태. 혈청 pH 7.45 이상

애착(attachment) 영아와 보호자(어머니, 아버지, 형제 또는 돌봄제공자)와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강력한 애정적 결속의 발달

약동학(pharmacokinetics) 약물의 시간과 이동관계

약시(amblyopia) 안경이나 렌즈로도 교정이 어려운 시력저하, 눈의 병적 또는 구조적 이상이 원인이 아님

약역학(pharmacodynamics) 세포수준의 약물 작용

양성(benign) 분명한 경계가 있는 종양을 형성하면서 외양상 거의 정상인 성장이 느린 세포

어깨난산(shoulder dystocia) 분만 중에 아기의 한쪽 또는 양쪽 어깨가 산모 골반 안에 끼면서 발생하는 분만손상

얼굴을 마주보는 자세(en face) 신생아와 부모 사이에 눈과 눈이 밀착될 있는 위치

역학(epidemiology) 선택된 모집단의 건강과 질병 그리고 건강과 질병의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연대기 연령(chronological age) 생활나이

연동운동(peristalsis) 위장관 평활근의 수축과 이완으로 인한 진행성 파상 운동. 음식과 액체를 밀어냄

연합놀이(associative play) 목표가 없는 집단 놀이

염증(inflammation) 세포의 상해나 파괴에 대한 조직 반응

영아사망률(infant mortality rate) 생후 12개월 내에 발생하는 생존한 출생영아 1,000명당 사망자

영양섭취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영양소 요구량을 추정하는 여러 용어의 라벨. 영양권장량, 적정섭취량, 상한 섭취량 평균필요량을 포함함

영양소(nutrient) 대사에 필요한 요소로서 신체에 공급되는 음식

영양소밀도(nutrient density) 식품의 100칼로리당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의 양과

영양적 흡철 또는 흡철(nutritive suckling or sucking) 젖을 얻기 위해 꾸준하고 율동적으로 또는 젖병을 빠는

예견된 슬픔(anticipatory grief) 사랑하는 사람의 임박한 죽음 앞에서 나타나는 반응으로 애도, 적응, 상호작용, 계획 심리사회적 재수용 과정

옹호(advocacy) 정책 또는 인간의 권리를 지지하는 발언 또는 주장

완전비경구영양, 완전정맥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신진대사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의 정맥 주입

완화간호(palliative care) 질환을 치유하는 것보다는 안락하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이 목적인 의학적 치료나 절차

완화요법(palliative therapy) 질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환자의 편안함을 증가시키지만 완치되지는 않는 의료 간호

외반(valgum) 신체의 중심선에서 외측으로 굽은 사지의 비정상적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