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고정(external fixation) 핀, 나사, 막대기 등으로 뼈나 연조직을 움직일 수 없게 또는 기형을 교정하기 위해 한 장치
외상 점수(trauma score) 외상의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의료인이 사정한 점수. 생리적 지표나 손상 유형을 나타내는 숫자의 가감과 제승에 의함. 현장에서의 환자 분류와 개인의 상태가 개선되는지, 악화되는지를 사정하는 데 사용함. 생존율과 연관됨
외상(trauma) 자동차 충돌, 추락, 총상, 찔림과 같은 외부 요인에 따른 손상. 자해나 의도적이거나 사고에 의할 수 있으며 심리적일 수 있음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죽음이나 영원한 불능의 주요 요인. 손상의 정도는 미약한 정도에서부터 심한 정도까지 범위가 넓음. 단기와 장기 불능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압도적 외상 사건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심리적 및 인지 장애
외전(abduction) 신체의 중심선에서 사지를 바깥쪽으로 이동
외현화 장애(externalizingdisorders) 행동증상을 동반한 장애(예: 주의력, 충동성, 공격성). 이제 신경발달장애에 포함됨
외회전(external ratation) 관절 내에서 바깥쪽으로 회전
요도상열증(epispadias) 음경 등쪽에 비정상적으로 위치한 요도
요도하열증(hypospadias) 음경 배쪽에 비상적으로 위치한 요도
용혈(hemolysis) 적혈구가 깨지는 것
울혈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심장이 적절한 순환을 유지하지 못해 발생하는 상태. 심장보다 낮은 신체 부위의 약화, 호흡곤란, 부종이 특징
원시(hyperopia) 먼 물체가 잘 보이고 가까운 물체가 보이지 않는 상태
원회전(circumduction) 사지나 눈의 회전운동
위험행동(risk-taking behaviors) 청소년이 신체적·심리사회적 해악에 노출시키는 행동
유두부종(papilledema) 시원반의 부종
유문(pylorus) 위 내용물이 십이지장 안으로 통과하는 위의 말초부위 입구로, 근막으로 둘러싸여 있음
유분증(encopresis) 대변실금
유사분열(mitosis) 생식세포를 제외한 신체세포의 세포분열
유수화(myelinization) 충격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신경을 둘러싸서 보호하고 있는 단백지질의 형성
유전(heredity) 부모에서 자손으로 유전적 특성의 전달
유전(자)(genetic) 유전자 또는 염색체에 관한 것
유전(자)형(genotype) 개인의 유전적 구성
유전돌연변이(genetic mutation) 유전자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의 변이(DNA stretch의 결손, 추가 또는 재복사)
유전자(gene) 신체 구조나 기능에 필요한 특정 산물의 생성을 지시하는 DNA의 한 부분
유전적성(별)(genetic sex) 두 개의 X염색체(여성) 또는 X와 Y염색체(남성)의 결합에 의해 결정된 성별. 염색체 성
유전체(genome) 발현되거나 발현되지 않을 수 있는 DNA 암호화된 특성
윤리(ethics) 행동의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규칙 또는 원리
윤리적 딜레마(ethical dilemas) 어떤 해결책도 완전히 만족하지 않게 보이는 상황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양막(태아막)의 염증. 양막염
음경굽음(chordee) 음경의 복부(배쪽의) 만곡
음낭수종(hydrocele) 고환 주위에 고인 체액
음성모방(echolalia) 다른 사람의 말이나 단어들을 반복하는 것
응급(emergency) 더 이상의 악화를 막기 위해 즉각적인 치료나 1시간 내 치료를 요하는 심리적·의학적·외상 상태
의식행위(ritualism) 같은 상태와 신뢰도를 유지하려는 욕구
의인-, 의원-(iatrogenic) 의사의 진단(치료)에 의하여 생긴 불리한 (건강)상태
이살충제(pediculicide) 이를 죽이는 약물
이행유(transitional milk) 초유와 성숙유 사이에 나타나는 모유
이형성(dysplasia) 조직의 비정상적 발달
이형접합-(heterozygous) 유전적 특성에 대해 두 개의 다른 대립유전자를 갖는 것
이환율(morbidity) 한정된 인구에서 건강인에 대한 환자의 비율
인종적(ethnic) 종교적·인종적·국가적 또는 문화적 집단의 특징. 특히 언어 양상, 사회적 관습, 신체적 특징에 속하는 것
임신 대리인, 대리모(gestational surrogate) 불임 부부의 배아를 품고 아이를 낳은 후 아이를 포기하는 여성
임신나이, 임신주수(gestational age) 발육 중인 아기의 출생 전 연령(주 단위로 측정)은 여성의 마지막 생리기간의 첫 번째 날부터 계산됨. 교정연령보다 약 2주 더 김. 월경연령
임신나이과체중(아)(large-for-gestational-ageinfant) 임신주수의 90번째 백분위수 이상의 신생아
임신나이저체중(아)(small-for-gestational-ageinfant) 임신주수의 10번째 백분위수 미만의 신생아
입안염, 구내염(stomatitis) 구강점막의 고통스러운 염증. 종종 화학요법으로 인한 구강 궤양과 관련됨
입체시(stereopsis) 양눈의 시상이 통합되어 물체가 입체적으로 보이는 상태
자가돌봄 아동(self-care children) 방과 후 집에서 자신을 스스로 돌봐야 하는 아동. 전에는 ‘열쇠 목걸이 아동(latch-key children)’이라 고 불렀음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면역계가 인체의 세포에 반응해 자가항체를 생산하는 질환
자기애(narcissism) 자신에 대한 지나친 집착
자기중심성(egocentrism) 자신에 대한 생각, 자신과 타인의 관점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상태
자기중심적(egocentric) 자기 자신의 관심과 요구에 몰두함
자동조절(autoregulation) 뇌동맥이 혈압이 변동하는 중에도 일정한 혈류를 유지하고, 뇌관류압의 변화에 반응하기 위해 동맥의 지름을 조절하며 관류를 이루게 하는 뇌동맥만의 특징적 능력
자리옮김, 전위(translocation) 염색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다른 염색체에 부착하는 것
자반(purpura) 종종 낮은 혈소판 수치로 인해 발생하는 피내출혈(타박상)의 결과로, 옅어지지 않는 붉은색, 푸른색 또는 자주색 반점(3 mm 이상)
자살위험성(suicide potential) 생명을 끝내기 위한 자해에 대한 개인의 위험 평가. 자살 생각, 몸짓, 위협, 충동, 시도, 삶의 자기종결을 포함함
자연피임(natural family planning) 여성 신체의 정상적 변화를 바탕으로 배란을 예측하는 방법
자율성(autonomy) 타인의 통제 없이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능력
자존감(self-esteem) 스스로 갖는 개인적 가치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의사소통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의 손상과 반복적이며 정형적인 행동패턴이 특징인 전반 발달장애.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전반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라는 용어로 대체됨
잠복고환(증)(cryptorchidism) 하나 또는 두 고환의 음낭으로의 하강 실패
잠혈(occult bleeding) 현미경이나 화학적 수단으로만 알아낼 수 있을 정도로 적은 양의 출혈
장관영양(enteral feeding) 구강 또는 영양 튜브를 통해 위장관에 공급되는 영양분
저나트륨성(저장성) 탈수[hyponatremic(hypotonic) dehydration] 나트륨 농도가 정상 체액보다 낮은 상태(예: 130 mEq/L)
저산소증(hypoxia) 신체 조직의 산소 가용성 감소
저산소혈증(hypoxemia) 혈중 산소가 감소된 상태
저알부민혈증(hypoalbuminemia) 혈액 속의 알부민 함량이 낮은 것
저체온(hypothermia) 정상보다 낮은 수준으로의 체온저하. 영아나 아동에게 위험한 체온은 심부체온이 35.6°C 이하인 경우
저체중출생아(low-birth-weight infant) 출생 시 체중이 2,500 g(5 lb, 8 oz) 미만인 유아
저혈당(hypoglycemia) 혈당 수치가 70 mg/dL 미만인 상태
저혈량쇼크(hypovolemic shock) 순환혈액량 손실로 인한 급성말초순환부전
적극적 경청(active listening) 실제 및 함축 메시지 모두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공감적 경청
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 비정상적으로 많은 적혈구 수
적혈구형성(erythropoiesis) 적혈구의 생성(적혈구, RBC)
전구증상(prodrome) 질병의 초기 단계. 다가오는 질병을 가리키는 증상
전도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외이나 중이의 손상, 염증, 폐쇄로 인한 가역적 청력손실. 소리가 중이를 거쳐 전달되지 못함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여러 영역에서의 발달 수준 또는 정신연령이 정상아와 뚜렷하게 다른 영아 및 아동기 중증장애
전방출혈(hyphema) 전방의 출혈 또는 붉은색 삼출물
전부하(preload) 심실수축 전에 심근섬유의 긴장력. 중심정맥압으로 쉽게 측정됨
전신사정(systematic assessment)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 방법
절박뇨(urgency) 갑작스럽게 소변이 마려움
절제(ablation) 병변조직의 제거
접합자(zygote) 난자와 정자가 결합하여 형성된 세포
정량식 흡입기(metered-dose inhaler) 약물을 분무하여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장치
정맥접근장치 이식(implanted venous access device) 카테터의 끝을 상대정맥내에 삽입하는 장치를 삽입하여 그 끝을 포트나 저장낭에 연결하여 피부내에 이식함. 장기 정맥주입에 사용
정보제공동의서(informed consent) 아동과 부모 혹은 보호자에게 행해질 처치나 치료에 대해 이점과 위험요인을 포함하여 완전히 이해하게 하는 법적·윤리적 요구서
정복(reduction) 치유될 때까지 뼈의 정렬을 유지하거나 장치를 적용해서 골 파편을 정상 위치로 재위치시키는 것
정상화(normalization) 적절하고 가치 있는 사회적 역할을 유지하고, 질병이나 비정상적인 행위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반응
정체성 형성(identity formation) 심리사회적·성적·직업적 정체성의 획득
젖당불내성(lactose intolerance) 젖당분해효소 결핍으로 인해 대부분의 유제품 소화 불가
'아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암기해야 하는 의학용어 (소아과/아동 7) (0) | 2023.08.24 |
---|---|
꼭 암기해야 하는 의학용어 (소아과/아동 6) (1) | 2023.08.23 |
꼭 암기해야 하는 의학용어 (소아과/아동 4) (3) | 2023.08.21 |
꼭 암기해야 하는 의학용어 (소아과/아동 3) (4) | 2023.08.20 |